나람지의 개발일기
JAVA 개인공부♡ 본문
< 데이터 타입 >
Q. 데이터 타입의 리터럴에 왜 접미사가 붙는가?
- 실수형 데이터를 정수형 변수에 저장할 경우 소수점 뒷자리 버려짐.
Q. 유니코드 , \u 가 무엇인가?
- \u 는 유니코드를 의미함.
(유니코드로 표현한 식)
- \u0041 = ' A '
- \uAC00 = ' 가 '
Q. printf()의 출력서식 - %s, %f, %c, %d 가 무엇인가?
< 자바에서 제공하는 특수문자 >
1. \n - (new line) : 한 줄 띄움
ex) System.out.println("안녕\n하세요");
===> 출력결과 : 안녕
하세요
2. \t - (tab) : 일정 간격 띄움
ex) System.out.println("이나경 \t 취업준비생 \t 1996년 4월생");
===> 출력결과 : 이나경 취업준비생 1996년 4월생
3. \" : 쌍따옴표 출력
ex)System.out.println("\" Hello, JAVA\"");
===> 출력결과 : "Hello, JAVA"
< Java printf 출력서식 >
1. println : 출력 후 한 줄 띄움.
2. print : 출력 후 줄 띄우지 않는다. 한 줄로 쭉 출력.
3. 서식이 있는 출력
- JDK 1.5 이상에서만 가능. printf에서만 가능. println에서는 불가
1) %d : 정수
2) %f : 실수
3) %c : 문자
4) %s : 문자열
Q. 후행연산자는 값이 다르게 나오는 이유가 무엇인가?
int x1 = 5;
int y1 = ++x1;
int x2 = 5;
int y2 = x2++;
System.out.println("x1: " + x1 + ", y1: " + y1); // x1: 6, y1: 6
System.out.println("x2: " + x2 + ", y2: " + y2); // x2: 6, y2: 5
=> ++x1은 1만큼 증가를 하고나서 y1에 대입하기 때문에 x1 : 6, y1 : 6. 같은 값이 나온다.
=> x2++은 대입을 먼저 하고 1만큼 증가를 하기 때문에 x2 : 6, y2 : 5가 나옴.
'발전 > 개인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비교연산자와 equals. (1) | 2022.10.15 |
---|---|
for문 조건식 콜론기능(:) (0) | 2022.10.14 |
두번째 주 개인공부(MYSQL)♡ (0) | 2022.10.02 |
문자와 문자열 ~ 형변환 (0) | 2022.09.28 |
첫번째 주 개인공부♡ (0) | 2022.09.25 |